존 무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무초는 이탈리아 출생의 미국의 외교관으로, 브라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21년 국무부에 들어가 함부르크, 홍콩, 상하이 등지에서 근무했으며,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초대 주한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 그는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북한의 공격을 미국에 보고하고, 한국 정부와 미군 간의 연락을 담당했다. 이후 아이슬란드, 과테말라 대사를 거쳐 1989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리처드 스나이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국무부 외교관, NSC 수석보좌관,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기여하고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관계에 관여했다.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내며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와 한미 관계의 주요 현안들을 다루었고 동아시아 문제 전문가로서 외교관계협의회 연구소장으로 활동했다.
존 무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지 | 발레아그리콜라, 이탈리아 |
출생일 | 1900년 3월 19일 |
사망일 | 1989년 5월 19일 |
사망 장소 | 워싱턴 D.C., 미국 |
묘지 | 록 크리크 묘지 |
자녀 | 4명 |
학력 | |
출신 학교 | 조지 워싱턴 대학교 |
경력 | |
직책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임기 시작 | 1949년 4월 20일 |
임기 종료 | 1952년 9월 8일 |
이전 | 외교 관계 수립 |
다음 | 엘리스 O. 브릭스 |
대통령 |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직책 | 주 아이슬란드 미국 공사 |
임기 시작 | 1954년 10월 12일 |
임기 종료 | 1955년 11월 3일 |
이전 | 에드워드 B. 로슨 |
다음 | 존 무초 (대사로 승격) |
대통령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순서 | 1대 |
직책 | 주 아이슬란드 미국 대사 |
임기 시작 | 1955년 11월 3일 |
임기 종료 | 1959년 12월 16일 |
이전 | 존 무초 (공사) |
다음 | 타일러 톰슨 |
대통령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직책 | 주 과테말라 미국 대사 |
임기 시작 | 1960년 2월 1일 |
임기 종료 | 1961년 11월 10일 |
이전 | 레스터 D. 맬러리 |
다음 | 존 O. 벨 |
대통령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
직책 | 홍콩 주재 미국 영사 |
임기 시작 | 1927년 |
임기 종료 | 1929년 |
2. 생애
이탈리아 왕국 발레 아그리콜라 출신으로, 어린 시절 미국으로 이주하여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 정착했다.[12][13] 브라운 대학교와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각각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12][16] 1918년 잠시 미국 육군에 복무한 뒤[13] 1921년 미국 국무부에 들어가 외교관의 길을 걸었다.[12][16] 초기에는 함부르크, 홍콩, 상하이, 라파스, 파나마, 아바나 등지에서 근무했다.[12]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초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냈다.[12]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해리 S. 트루먼 대통령 특사로 한국에 부임했고,[13][14] 1949년 4월 정식 대사로 임명되었다.[14][15] 주한 대사로서 이승만 정부와의 관계 조율 및 주한미군 철수 준비를 담당했으며,[13][16] 1950년 1월에는 미·한 상호 방위 조약 체결 관련 협상을 진행하고 미국의 군사 원조 1000만달러 지원 등을 조율했다.[17] 같은 해 6월 초, 미국 의회 증언에서 38도선에서의 군사적 위협을 경고하며 한국에 대한 지원 강화를 주장했다.[17]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즉시 워싱턴 D.C.에 북한의 전면 남침 사실을 보고하고[17] 미국인들의 피난을 지휘했다.[13] 전쟁 기간 동안 대한민국 정부와 미군 사이의 연락책 역할을 수행했으며,[13] 이승만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에 대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으나, 큰 변화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13] 1952년 9월 주한 대사직에서 물러났지만, 후임자인 엘리스 O. 브릭스(Ellis O. Briggs영어)에게 업무를 인계하기 위해 같은 해 11월까지 자리를 지켰다.[14][15]
이후 1952년부터 1954년까지 국제 연합 신탁 통치 이사회 미국 대표로 활동했고,[14] 1954년 주 아이슬란드 공사를 거쳐 1955년부터 1959년까지 주 아이슬란드 대사를 역임했다.[15] 1960년부터 1961년까지는 주 과테말라 대사를 지냈다.[15] 1989년 워싱턴 D.C.의 시블리 기념 병원(Sibley Memorial Hospital영어)에서 울혈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12]
2. 1. 출생과 성장
1900년 이탈리아 왕국 캄파니아주 카세르타현 발레 아그리콜라(Valle Agricola)에서 태어났다.[24][12] 생후 5개월 때 어머니와 함께, 먼저 미국으로 가 있던 아버지를 따라 이주하여[25]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 정착했다.[13] 1918년 미국 육군에 입대했다.[26][13] 1921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여 국적을 변경했다.[27] 브라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고,[12]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국제 관계론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6] 같은 해인 1921년 국무부에 들어갔다.[12][16]2. 2. 학력
2. 3. 외교관 생활
1921년 미국 국무부에 들어갔다.[12][16]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의 함부르크, 영국령 홍콩 (1926년 부영사), 중화민국의 상하이 (1931년 4월 14일 행정영사), 볼리비아의 라파스, 파나마의 파나마시티, 쿠바의 아바나 등에서 근무하며 외교 경력을 쌓았다.[12][28]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당시 주한미군 사령관 겸 군정 장관이던 존 리드 하지 중장 대신 무초를 대통령 특사로 임명하여 한국에 파견했다.[13][14] 미국 정부가 대한민국을 공식적으로 국가 승인한 뒤인 1949년 4월 7일, 트루먼 대통령은 무초를 초대 주한 미국 대사로 지명했고,[14][15] 무초는 4월 20일 이승만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봉정하며 공식 임기를 시작했다.[15] 그의 주요 임무는 이승만 정부와의 정치적 조율 및 주한미군 철수 준비였다.[13][16] 무초는 1950년 1월 미·한 상호 방위 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며 미국의 군사 원조 1000만달러 지원 등을 조율했다.[17] 같은 해 6월 초에는 미국 연방 의회 증언에서 38도선 일대에서의 공산주의 세력의 군사적 위협이 임박했음을 경고하며 대한민국 정부에 대한 지원 강화를 요청하기도 했다.[17]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12], 무초는 개전 당일 워싱턴 D.C.와 연락하여 북한의 전면적인 남침 사실을 보고했다.[17] 그는 전쟁 발발 상황을 국무부에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한편, 한국 내 미국인들의 피난을 지휘했다.[13] 전쟁 기간 동안 무초는 대한민국 정부와 미군 사이의 중요한 연락책 역할을 수행하며 미국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13] 또한 이승만 대통령의 권위주의적 통치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비판하며 설득하려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13] 무초는 1952년 9월 주한 대사직에서 물러났지만, 후임자인 Ellis O. Briggs|엘리스 오옴즈비 브릭스영어에게 업무를 인계하기 위해 같은 해 11월까지 자리를 지켰다.[14][15]
주한 대사 임기를 마친 후, 1952년부터 1954년까지 국제 연합 신탁 통치 이사회에서 미국 대표로 활동했다.[14][28] 이후 아이슬란드 주재 공사(1954년)를 거쳐 1955년부터 1959년까지 주 아이슬란드 대사를 역임했다.[29][15] 1960년 2월 1일부터 1961년 11월 10일까지는 과테말라 주재 미국 대사로 근무했다.[15] 외교관 경력의 상당 부분을 극동과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보낸 무초는 1962년에 은퇴했다.[30]
2. 4. 만년
1987년 발병한 울혈성 심부전으로 2년간 투병하다 1989년 5월 19일 워싱턴 D.C.의 시블리 기념 병원에서 타계하였다.[12]3. 한국에서의 외교관 활동
존 무초는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초대 주한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12]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따라,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한국 관련 외교 책임자를 군정 장관 하지 중장에서 무초로 교체하고, 그를 대통령 특사로 한국에 파견했다.[13][14] 미국이 한국을 공식적으로 국가 승인한 후인 1949년 4월 7일, 트루먼 대통령은 무초를 초대 주한 대사로 임명했으며,[14][15] 무초는 4월 20일 이승만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하며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15]
주한 대사로서 그의 주요 임무는 이승만 대통령과의 정치적 조율 및 주한 미군 철수 준비였다.[13][16] 그는 1950년 1월 미·한 상호 방위 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여 미국의 군사 원조 1000만달러 제공 등을 조율했다.[17] 또한 한국 전쟁 발발 직전인 1950년 6월 초에는 미국 의회 증언을 통해 38도선에서의 공산주의 세력 위협이 임박했음을 경고하고 한국에 대한 지원 확대를 요구했다.[17]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무초는 개전 당일 워싱턴 D.C.에 북한의 전면 공격 사실을 보고하고,[17] 한국 내 미국인들의 피난을 지휘했다.[13] 전쟁 기간 동안 그는 한국 정부와 미군 사이의 연락을 담당하며 중요한 정보를 미국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3] 또한 이승만 대통령의 통치 방식에 대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하며 설득하려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13] 무초는 1952년 9월 주한 대사직에서 물러났으며,[15] 후임자인 엘리스 O. 브릭스에게 업무를 인계하기 위해 같은 해 11월까지 자리를 지켰다.[14]
3. 1. 임명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식 이틀 전인 1948년 8월 13일,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존 무초를 한국에 파견할 첫 외교사절단 대표, 즉 주한 특사로 임명했다.[32][13] 이는 기존에 한국에 대한 외교 책임을 맡고 있던 군정 장관 하지 중장에서 민간 외교관인 무초로 책임자를 교체하는 조치였다.[13] 무초는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1948년 8월 17일 한국에 도착했으며,[32][14] 이후 7개월 동안 서울 반도호텔에 마련된 특사관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한국 정부 수뇌부와 주한 미군 철수 문제 등을 논의했다.[32] 그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이승만 대통령과의 정치적 조율 및 미군 철수 준비였다.[13][16]1949년 1월 1일 미국이 한국을 정식으로 국가 승인한[32] 이후, 같은 해 4월 7일 트루먼 대통령은 무초 특사를 초대 주한 미국 대사로 공식 임명했다.[32][14][15] 무초는 임지인 서울에서 대사 임명을 받았고, 4월 20일 이승만 대통령에게 신임장과 트루먼 대통령의 사진을 전달하며 공식적인 외교 활동을 시작했다.[32][15]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이미 영국, 프랑스 등 다른 우방국 대사들로부터 약식으로 신임장을 받았지만, 미국의 초대 대사 신임장 제정식은 특별히 성대하게 거행하도록 국무회의에 지시했다.[33] 이에 따라 국무회의는 신임장 제정식과 더불어 무초가 사용하던 반도호텔 사무실을 미국 대사관으로 공식 증정하는 행사도 함께 열기로 결정했다.[33] 4월 20일 오전 10시 50분, 무초 대사와 직원 17명이 탄 6대의 승용차는 반도호텔 정문에서부터 행사장인 중앙청 앞까지 도열한 육군 및 해군 의장대의 사열을 받으며 입장했다.[33]
신임장 제정식은 경찰 및 군악대의 장엄한 연주로 시작되었으며, 이시영 부통령, 이범석 국무총리, 신익희 국회의장, 김병로 대법원장 및 전직 각료들이 대거 참석하여 매우 큰 규모로 진행되었다. 이는 다른 나라 외교 사절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33] 신임장과 트루먼 대통령의 사진을 전달받은 이승만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수립과 육성에 힘써온 무초 특사가 대사로 승격된 것은 한국이 미국의 명실상부한 맹방으로 진일보한 것"이라며 무초의 대사 임명을 환영했다.[33]
대사 임명 이후 무초는 1950년 1월, 미·한 상호 방위 조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며 미국의 군사 원조 1000만달러 제공을 조율했다.[17] 또한 1950년 6월 초에는 미국 연방 의회 청문회에 출석하여 38도선에서의 공산주의 세력 위협이 임박했음을 경고하고, 한국에 대한 지원 확대를 강력히 요구했다.[17]
3. 2. 한국 전쟁 이전 활동
1900년 이탈리아 왕국의 발레 아그리콜라에서 태어났다.[12] 어린 시절 부모를 따라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로 이주했다.[13] 브라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고,[12] 조지 워싱턴 대학교에서 국제 관계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6] 1918년에는 미국 육군에 복무하기도 했다.[13]1921년 국무부에 들어가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12][16] 바이마르 공화국의 함부르크, 영국령 홍콩, 중화민국의 상하이, 볼리비아의 라파스, 파나마의 파나마, 쿠바의 아바나 등 여러 지역에서 근무했다.[12]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한국 관련 외교 책임자를 군정 사령관이었던 하지 중장에서 무초로 교체했다.[13] 무초는 처음에는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한국에 부임했다.[14] 미국 정부가 한국을 공식적으로 국가 승인한 뒤인 1949년 4월 7일, 트루먼 대통령은 무초를 초대 주한 미국 대사로 공식 지명했고,[14][15] 무초는 4월 20일에 이승만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하고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15]
주한 대사로서 무초의 주요 임무는 이승만 대통령과의 정치적 조율 및 주한 미군 철수 준비였다.[13][16] 그는 대일강화조약 준비 과정에서 국무부에 한국의 참가를 요구하기도 했다.[34] 1948년 12월 21일에는 장택상 당시 외무부 장관과 회담했다.[35] 1950년 1월에는 미·한 상호 방위 조약 체결을 위한 합의 협상을 진행하여 미국의 1000만달러 규모 군사 원조 등을 조율했다.[17]
한국 전쟁 발발 직전인 1950년 6월 초, 무초는 미 의회 증언에서 38도선 부근에서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임박했음을 경고하고 한국에 대한 지원 증가를 요구했다.[17] 또한, 1950년 6월 17일에는 한국을 방문한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부 고문을 초청하여 만찬회를 열었다.[36]
3. 3. 한국 전쟁 기간 활동
무초는 한국 전쟁 개전 당일인 1950년 6월 25일 오전 11시에 워싱턴D.C.에 전화를 걸어 "북한군이 한국에 대한 전면 공격을 개시했다"고 보고했으며, 이후 북한의 공격 상황을 국무부에 지속적으로 전달했다. 워싱턴 당국은 이 첫 공식 보고를 미국 동부 시간 기준 6월 24일 오후 9시 26분에 접수했는데, 이는 전쟁 발발 7시간 26분 후였다.[37][17]전쟁 발발 직후, 무초는 맥아더 장군에게 한국 내 미국인의 철수를 요청했고,[38] 직접 자국민의 피난을 지휘했다.[13] 또한 대한민국 정부와 함께 피난길에 오르던 중 이승만 대통령 일행을 만나 자신의 차량에 태우기도 했다.[39]
전쟁 기간 동안 무초는 한국 정부와 미군 사이의 주요 연락책 역할을 수행하며 중요한 정보를 미국에 제공했다.[13] 그는 이승만 대통령에게 독재적인 통치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설득하려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13] 무초는 1952년 9월까지 주한 대사로 활동했으며,[15] 후임자인 Ellis O. Briggs|엘리스 오옴즈비 브릭스eng에게 업무를 인계하기 위해 같은 해 11월까지 자리를 지켰다.[14]
4. '베사메 무초' 에피소드
트리오 로스 판초스가 부른 '베사메 무초'는 영어로 'Kiss me much', 즉 '내게 많이 키스해주세요'라는 뜻이다. 하지만 가수 현인은 이 곡을 번안할 당시 주한 미국 대사였던 존 무초의 이름을 듣고 '무초'를 사람 이름으로 오해했다. 그래서 '베사메 무초'라는 이름의 아가씨에게 바치는 노래로 잘못 번역하여 불렀다는 일화가 있다.[40]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s
https://www.latimes.[...]
1989-05-29
[2]
뉴스
John J. Muccio, 89; Was U.S. Diplomat in Several Countries
https://www.nytimes.[...]
1989-05-22
[3]
웹사이트
Former Chiefs of Mission in Korea |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Seoul Korea
http://seoul.usembas[...]
[4]
웹사이트
The Political Graveyard: Index to Politicians: Moza to Mulleague
http://politicalgrav[...]
[5]
간행물
Brown Alumni Weekly: Our Ambassador to Korea
https://archive.org/[...]
[6]
서적
The United States in Asia: A 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7]
뉴스
John J. Muccio, 89; Was U.S. Diplomat In Several Countries
https://www.nytimes.[...]
1989-05-22
[8]
서적
Collateral damage: Americans, noncombatant immunity, and atrocity after World War II
Routledge
[9]
뉴스
노근리재단, 과거사 특별법 제정 세미나 개최
http://news.naver.co[...]
2012-10-15
[10]
논문
In the Face of American Amnesia, The Grim Truths of No Gun Ri Find a Home
https://apjjf.org/20[...]
2015-03-09
[11]
서적
Policy and Direction: The First Year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2]
서적
The United States in Asia: a histor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3]
서적
Korean War almanac
Infobase Publishing
[1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Korean War
Scarecrow Press
[15]
웹사이트
John Joseph Muccio (1900-1989)
http://history.sta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16]
뉴스
John Muccio, 89 ...Former ambassador
https://news.google.[...]
1989-05-22
[17]
뉴스
John J. Muccio, 89; Was U.S. Diplomat In Several Countries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1989-05-22
[18]
문서
1955年11月3日に特命全権大使に昇格
[19]
웹인용
First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Dies
http://www.apnewsarc[...]
AP통신
1989-05-21
[20]
웹인용
First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Dies
http://www.apnewsarc[...]
AP통신
1989-05-21
[21]
웹인용
First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Dies
http://www.apnewsarc[...]
AP통신
1989-05-21
[22]
웹인용
Oral History Interview with John J. Muccio
http://www.trumanlib[...]
트루먼 도서관
1971-02-10
[23]
웹인용
First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Dies
http://www.apnewsarc[...]
AP통신
1989-05-21
[24]
웹인용
First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Dies
http://www.apnewsarc[...]
AP통신
1989-05-21
[25]
웹인용
Oral History Interview with John J. Muccio
http://www.trumanlib[...]
트루먼 도서관
1971-02-10
[26]
서적
Korean War almanac
Infobase Publishing
[27]
웹사이트
네이버 두산 지식백과 존 무초
https://terms.naver.[...]
[28]
서적
The United States in Asia: a histor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29]
웹사이트
미 국무부 역사 인물(존 무초)
http://history.state[...]
[30]
웹인용
Oral History Interview with John J. Muccio
http://www.trumanlib[...]
트루먼 도서관
1971-02-10
[31]
뉴스
AP통신의 존 무초 부고 기사
http://www.apnewsarc[...]
[32]
웹인용
주한 미국 대사관 역대 대사
http://seoul.usembas[...]
2012-11-05
[33]
뉴스
秘錄 韓國外交<26> : 政府樹立 직후 ⑧ 美中國에 特使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5-03-12
[34]
서적
독도 1947
돌베개
[35]
뉴스
무氏等 美使節團 張外務長官訪問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8-12-23
[36]
뉴스
덜레스氏 38線視察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0-06-19
[37]
서적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http://www.imhc.mil.[...]
1977
[38]
뉴스
매카더 元帥와 韓國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사
1964-04-09
[39]
뉴스
"[law&diplomacy] 존 무초 초대 대사, 한국전쟁 전에 북의 침공 예고"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9-19
[40]
뉴스
주한미군 진주와 재즈붐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3-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